카테고리 없음

마쓰시타정경숙의 면접 포인트

3406 2020. 4. 23. 10:33

실200411           마쓰시타정경숙의 면접 포인트

 

일본에서 ‘경영의 신’으로 추앙받는 마쓰시타 고노스게는 정치인 사관학교로 불리는 마쓰시타정경숙을 세웠다.

정경숙의, 국가를 위해 봉사하겠다는 포부를 가진 젊은이들이 내는 정경숙의 입학원서는, 자신이 걸어온 길과 걸어갈 길에 관한 3000자 분량의 자기소개서가 전부다. 이를 토대로 면접을 통해서만 선발한다. 면접의 핵심 포인트는 운(運), 애교(愛嬌), 잔심(殘心) 세 가지다.

마쓰시타는 살아생전 “운이 좋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어차피 잘될 것이라는 여유를 갖고 있고, 그런 여유는 두려움을 이기게 한다”고 말했다. 긍정적 마음가짐이다. 게다가 자신의 인생을 ‘운이 좋았다’고 설명하는 사람은 대체로 겸손한 성품이다. 시험에 떨어지거나 사업이 망했을 때 이를 실패로 단정하고 괴로워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마쓰시타 구분법에 따르면 이는 인생을 성공으로 이끌어주는 ‘좋은 운’인 셈이다.

애교는 ‘남에게 귀엽게 보이는 모습’이란 사전적 의미보다는 즐겁게 웃고 주변을 밝게 해주는 성격을 뜻한다. 요즘 표현으로 유머에 가깝다. 유머는 대화나 회의의 분위기를 밝게 해주고, 소통을 원활하게 한다. 게다가 적절한 상황에 걸맞은 유머를 구사한다는 것은 상황을 완전히 장악하고 이끌어가는 능력, 다시 말해 리더십이 뛰어나다는 뜻이다.

잔심은 불교에서 유래된 검도 용어. 우리 검도계에선 ‘존심(存心)’으로도 사용된다. 상대방을 공격한 후 곧바로 본래의 자세를 갖추어 반격에 대비하는 마음가짐이다. 자칫 방심하면 역공을 당하기 십상인 탓이다. 이른바 ‘검도 경영’을 얘기하는 사람들은 어떤 일을 마무리 지은 뒤 부족한 부분이 없는지 점검하고 신중하게 다음 단계를 준비하는 마음으로 설명한다.

면접 때도 잔심은 쉽게 파악된다. 면접을 마친 뒤 앉았던 의자도 집어넣지 않고 인사도 없이 돌아서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공손하고 절도 있는 태도로 맵시 있게 마무리하는 사람도 있다. 수험생이 무슨 말을 했는지는 잘 기억나지 않아도, 이런 태도의 차이는 분명히 기억되고 또 평가된다. 실제 면접 현장에서는 이런 태도에서 당락이 갈리는 경우도 많다.

(육동인 직업학 박사)

 

“우리의 인생은 어떤 일이 생기느냐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어떤 태도를 취하느냐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다.( 존 호머 밀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