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바보배'에서 탈출해야 산다 (1)
서화동 논설위원
“바보라네, 슬기롭게 처신해야지 하면서/ 정도와 도리를 모르는 사람은/ 지혜롭게 살아야지 하면서/ 뻐꾸기를 가지고 매사냥에 나서는 격일세/ 하는 말은 지혜와 슬기가 철철 넘치는데/ 하는 행동은 바보쟁기를 끌고 있다네.”
르네상스 시대 독일의 인문주의자 제바스티안 브란트(1458~1521)가 쓴 《바보배(Das Narrenschiff)》의 한 구절이다. 자신의 영리함과 약삭빠름만 믿고 다른 사람의 조언을 무시하는 사람은 어리석다는 얘기다.
1494년 지금의 스위스 바젤에서 독일어로 처음 출간된 이 책은 풍자 산문시집이다. 책에는 수많은 바보들이 등장한다. 돈 많은 바보와 가난한 바보, 권력자, 술꾼과 노름꾼, 게으름뱅이, 매춘부, 사채업자, 악덕 사장 등 종류가 다양하다. 충언에는 귀를 막고 간언에는 솔깃한 바보, 이간질하는 바보, 진실에 입 다무는 바보도 있다.
저자는 110가지가 넘는 유형의 바보들을 배에 가득 태우고 어리석음의 풍랑이 몰아치는 세상의 바다를 지나 바보들의 천국인 ‘나라고니아’로 향한다. 설렘과 즐거움에 들뜬 승선자들은 쾌락의 노래를 합창하며 즐기다 배가 침몰하고 나서야 깨닫는다. 자신들이 추구했던 가치가 헛되고 부질없음을…. 가련한 바보들을 향한 풍자가 신랄하다. “무릇 세상의 쾌락에는 비참한 종말이 닥치니/ 바보들아 보아라, 어디에 닻을 내리게 될지.”
당대 유럽 전역의 베스트셀러였던 이 책에 등장하는 인간 군상은 현대인들과도 별반 다르지 않다. 광기와 비이성, 어리석음과 무능함, 탐욕과 무절제, 편견과 불통, 허세와 자아도취, 아첨과 이간질 등 인간의 어리석음은 동서고금을 관통한다.
나온 지 500년도 훨씬 넘은 이 책을 새삼 떠올리게 된 건 침몰 직전의 거대 야당을 보면서다. 브란트가 바보의 그물을 워낙 넓고 촘촘하게 쳐놓은 탓에 웬만한 바보들은 다 걸리게 돼 있지만, 어쩌면 이렇게도 콕콕 잘 짚어놨을까 싶을 정도다.
2017년 대선 이후 제7회 지방선거, 21대 총선에서 잇달아 압승을 거둔 더불어민주당은 지난해 4·7 재·보궐 선거, 올해 대선과 지방선거에서 내리 3연패했다. 실패 원인은 여럿이지만 뭉뚱그려 말하자면 오만과 불통, 편 가르기기와 내로남불이다.
한국경제 2022.06.04 오피니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