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이 순간 보다 더 좋은 때는 없다
세계를 정복했던 나폴레옹은 “내가 진정 행복했던 날은 일주일도 되지 않는다”고 했다.
3중 장애를 안고 살았던 헬렌 켈러는 “행복하지 않았던 날은 단 하루도 없었다”고 말했다.
남의 평가나 동정에 연연하지 않는 자기만의 주관이 만족과 감사를 낳고, 그것이 행복감으로 이어진다.
- 김난도, ‘천 번을 흔들려야 어른이 된다’에서
톨스토이는 말했다.
“삶이 곧 끝나버린다고 생각하며 살라. 그러면 남은 시간이 선물로 느껴질 것이다. 현재의 삶은 최고의 축복이다. 우리는 다른 때, 다른 곳에서 더 큰 축복을 얻게 되리라 기대하며 현재의 기쁨을 무시하고는 한다.
지금 이순간 보다 더 좋은 때는 없다.”
당신은 충분히 아름답다
능력주의는 처음에 매우 고무적인 주장으로 출발했다.
우리가 열심히 일하고 열심히 믿으면 신의 은총을 우리 편으로 끌어올 수 있다는 주장 말이다. 이런 생각의 세속 판은 개인의 자유에 대한 유쾌한 약속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우리 운명은 우리 손에 있고, 하면 된다”라는 약속 말이다.
- 마이클 샌델의《공정하다는 착각 》중에서 -
*'하면 된다'는 능력주의 풍조가 만연한 지금, 원하는 목표를 이루지 못했다고 스스로 자책하지 마라. 눈앞에 보이는 풍경과 옆에서 곤히 자고 있는 소중한 사람을 가만히 바라보라.
어릴 적 원했든 꿈을 이루지 못했더라도, 돈을 많이 벌지 못하더라도,
사회적으로 존경받지 못해도 당신은 충분히 아름다운 사람이다.
소소하지만 온전한 행복을 오롯이 누릴 자격이 있다.
(옮겨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