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로암
흙 수저도 금을 뜨면 금 수저
3406
2023. 7. 14. 10:57
디모데후서 2장에 나오는 금 그릇 은그릇 나무그릇 질그릇 이야기를 묵상하다가 이런 생각이 떠올랐다. 금 그릇이라도 쓰레기를 담으면 쓰레기통이고, 나무그릇이라도 보석을 담으면 보석함이 되겠구나 하는 깨달음이다.
우리는 무엇으로 만들어졌느냐에 더 관심을 가진다. 하지만 그것은 우리가 좌우할 수 없는 문제이다. 토기장이 비유처럼 하나님의 주권에 속한 문제이기 때문이다. 다만 그 안에 무엇을 담느냐는 우리가 결정할 수 있다.
요즘 금 수저 은수저 흙 수저 이야기를 많이 한다. 그것도 마찬가지이다. 금 수저로 흙을 뜨면 흙 뜨는 수저이고, 흙 수저도 금을 뜨면 금 뜨는 수저이다. 무엇으로 만들어졌는가 보다 무엇을 뜨면서 사는지가 더 중요하다.
세상에서 가장 복된 나무그릇은 아기 예수님을 뉘었던 베들레헴 말구유였다. 하찮은 말구유에 불과했지만 아기 예수님을 담아서 가장 복된 그릇이 되었다.
우리 마음의 그릇에도 세상의 잡다한 것들을 다 주워 담으며 살지 말고, 하나님이 주시는 하늘의 값진 것들을 담으며 살아야 한다. 그러면 우리가 무엇으로 만들어졌든 보물 그릇이 될 것이다.
손석일 목사(서울 상일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