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로암

거친 파도가 유능한 사공(沙工)을 만든다

3406 2023. 11. 3. 12:40

 

철학자 '토인비'의 책『도전과 응전』은 정말 의미심장한 책이다.

'토인비'는 그 책에서 자연조건이 좋은 환경에서는 인류 문명이 태어나지 않았고 거의 다 거친 환경, 가혹한 환경에서 이루어졌음을 밝혀주고 있다.

 

고대 문명과 세계 종교의 발상지는 모두 廣野 같은 안 좋은 땅이었다. 이집트 문명, 수메르 문명, 인도 문명, 중국 문명이 그렇다.

 

이집트 문명을 일으킨 민족은 아프리카 북쪽에서 수렵생활을 하며 지내고 있던 이들이었다.

지금부터 5, 6천 년 전 강우(强雨) 전선이 북쪽으로 이전하게 되어 아프리카 북쪽이 모두 사막지대로 변하게 되자 세 부족으로 나누어지게 되었다.

 

그 자리에 남아서 그냥 그대로 살아간 부족은 소멸되고 말았고, 북쪽으로 강우 전선을 따라간 부족 역시 그곳에서 사라져 버렸다.

 

그러나 맹수와 독사들이 우글거리는 나일강 지역으로 이주하여 농경과 목축, 어업으로 생활방식을 바꾼 부족들이 찬란한 이집트문명을 만들어 냈다.

 

나일강의 범람 시기를 알아내기 위해 천문학과 태양력을 발달시켰고, 나일강이 범람하였다가 물이 빠지면 온통 쑥밭이 된 토지를 나누기 위하여 기하학, 측량술이 발달되었으며, 범람을 막기 위해 제방술이 발달되었다.

 

​도르래가 발명되고 축대를 쌓는 기술이 탁월하여져 불가사의의 피라미드를 만들어 냈다.

거친 환경이 유능한 문화를 만들게 된 것이다.

 

중국 문명도 마찬가지 이다.

중국에 유명한 두 강이 있다. 양자강과 황하강이다.

양자강 유역은 기후가 온화하다.

강도 범람하지 않아 그 주변 사람들은 살기 좋고 편안하였다.

 

그러나 황하강은 쿤룬산맥에서 발원하여 발해만으로 흐르고 있어서 혹독한 추위로 겨울이면 얼어붙어서 배가 다닐 수 없었다.

해마다 반복적으로 범람하여 수많은 인명을 빼앗아 갔다.

그런 거친 환경과 싸우다 보니 황하강 문명이 발달하게 되었다.

 

민족도 마찬가지이다.

세계에서 가장 거친 환경에서 살아온 민족은 유대인이다.

서기70년 7월 9일에 나라를 빼앗기고, 1948년 5월 14일 독립할 때까지 1900년 동안 이곳저곳 쫓겨 다니며 나라 없는 고통을 당해야 했다.

 

심지어 독일에서는 유대인을 잡아서 총연습을 하기도 하였고, 총알 하나로 몇 명을 죽일 수 있는지 일렬로 세워놓고 총을 쏘는 실험을 하기도 하였다.

히틀러는 유대인 600만 명을 학살 하였다.

 

유대인들을 반기는 곳은 지구에는 아무 곳도 없었기 때문에 유대인들은 가장 가혹한 환경 속에서 살 수 밖에 없었다.

 

온 세계가 유대인을 박해할 때 유대인을 품어준 나라가 그래도 미국밖에 없었다.

2차 대전 후 몰려드는 유대인들에게 미국은 허드슨 강변을 내주었다.

험악하고 최악의 조건을 갖춘 거친 환경의 땅이었다.

유대인들은 옹벽을 쌓아 허드슨강이 범람하는 것을 막았다.

그리고 금융업을 시작하였다. 지금 온 세계의 금융의 중심지가 되었다.

이곳이 지금의 월가이다.

 

세계 문명을 꽃피운 민족이 유대인이 되었다.

0.3% 밖에 안 되는 민족이 지금 세계를 지배하고 있다.

유대인들은 긴 세월동안 척박한 환경 속에서도 아름다운 긍정적 신념을 공유하고 살아오는 동안 거친 환경을 이길 수 있는 DNA가 형성되어 있는 것 이다.

 

거친 파도가 유능한 사공을 만드는 것이다.

(옮겨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