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년 9·11사태를 계기로 아프가니스탄을 침공한 미국이 철수를 단행했다. 1975년 베트남전 패전으로 사이공 미 대사관 헬기 탈출의 치욕적인 악몽이 아프가니스탄 카불에서 재현되었다. 1955년부터 20년간 이어진 전쟁의 패배로 베트남이 사회주의 정권이 된 것처럼 아프가니스탄도 미군 철수로 20년 만에 탈레반이 정권을 탈환했다.
뉴욕주립대의 역사사회학자 리처드 라크먼(Richard Lachmann)교수를 비롯한 많은 군사전문가들은 미국의 전쟁 대처 전략과 능력에 의구심을 제기한다. 호주 뉴사우스웨일즈 대학의 데이비드 킬컬런(David Kilcullen)교수는 『용과 뱀(Dragons and Snakes)』에서 전쟁 양상의 변화로 미국의 전쟁 방식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고 분석한다.
정밀유도 미사일, 항공모함, 스텔스기 등 최첨단 대규모 무기체계가 용들의 전쟁에서는 유효할지 모르지만, 탈레반이나 알카에다 같은 뱀을 상대로 하는 비정규전에서는 효과가 없다. 스와스모어 칼리지 정치학과의 도미니크 티어니(Dominic Tierney)교수의 『The Right Way to Lose a War』나 아스펜연구소의 수석전략가 크리스 브로즈(Christian Brose)의 『The Kill Chain』에서도 미국의 전략 패러다임은 획기적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경고한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바이든 대통령은 미국 국익을 위해 중국이나 러시아와 같은 용들과의 전쟁만 준비하겠다고 한다. 2차 세계대전 후 핵 억지력으로 강대국간 전쟁보다 내전이나 테러의 전쟁만 일어났고 미국은 이 모든 전쟁에서 패했는데도 아직 미국의 전쟁 패러다임은 바뀌지 않고 있다.
일본에서 40년 가까이 베스트셀러가 된 책이 있다. 지식경영이론의 대가 노나카 이쿠지로(野中郁次郞) 히토츠바시대학 교수의 『일본 제국은 왜 실패하였는가』라는 책이다. 일본은 러일전쟁에서 해군 함포의 우월성과 청일전쟁에서 육군의 강인한 정신력으로 승리했다. 하지만 레이더 기술을 개발한 미국과의 태평양전쟁에서 세계 최대 규모의 함포를 자랑하던 야마토호는 전투에 몇 번 참전하지 못한 채 격침되고 말았다. 일본 육군도 노몬한, 과달카날 등 전투에서 기존의 의사결정, 전략, 조직운영 방식을 고집하다 모두 패전했다. 성공의 경험은 실패로 이끄는 유혹이다.
염재호 고려대 명예교수·전 총장중앙일보 2021.09.08
'실로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틀즈의 꿈 이야기 (0) | 2021.09.15 |
---|---|
머리로 싸우는 전쟁과 탈피오트의 교훈(2) (0) | 2021.09.14 |
혹시 했더니 역시 ‘홍두사미’ (0) | 2021.09.14 |
간신천하 (0) | 2021.09.13 |
축복의 주의사항 (0) | 2021.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