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로암

위정자의 그릇된 역사관, 나라를 멍들게 한다(1)

3406 2021. 10. 30. 11:07

선진국 진입을 앞둔 우리에게 아직 부족한 점이 있다면 그건 아마도 역사의식이 아닌가 싶다. 고금을 통해 위대한 국가들은 모두 역사를 중시했다. 당나라 태종은 “역사를 거울로 삼으면 나라의 흥망을 알 수 있다”라고 말했고, 처칠은 “더 길게 되돌아볼수록 더 멀리 내다볼 수 있다” 했다. 미국에서는 역사는 되풀이되는 만큼 백악관에 역사자문회의를 두자는 발상도 나왔다.

 

이에 반해 우리는 예나 지금이나 역사에 관심이 적다. 유성룡은 임진왜란과 같은 비극이 다신 일어나선 안 된다는 취지에서 징비록을 썼지만 이 책은 정작 조선보다 일본에서 유행했다고 한다. 역사를 소홀히 하고, 무관심했기에 300년 후 다시 당했다.

 

지금도 별로 달라진 것이 없다. 구한말 조선이 왜 망했는지는 관심이 없고 그저 ‘나쁜 일본’이라는 감정적인 프레임만 강조한다. 죽창가를 부르고, 토착 왜구를 물리치자는 등 허황된 소리만 하지 역사에서 교훈을 찾을 생각은 없다.

 

반면 중국에 대해서는 지나치게 저자세이다. 정치인들은 시진핑이 주창한 중국몽을 칭송하기 바쁘다. 중국몽에는 우리를 과거처럼 속국으로 삼겠다는 의미가 있는데도 말이다. 더 나아가 ‘한·중이 운명 공동체’라고까지 말하는 것은 무엇을 도모하자는 것인지 모르겠다.

 

역사적으로 보면 중국은 자기중심의 매우 무서운 나라이다. 우리가 굽실거린다고 우리 편 되지 않는다. 그동안 사드 보복, 한한령, 북핵 위협을 보더라도 나아진 것이 없다. 경제 때문에 어쩔 수 없다지만, 일본의 경우 대중 수출 비율이 20%(한국은 25%)에 달해도 나름 원칙을 가지고 중국을 대한다. 미국의 대중 압박에 가담해도 중국은 일본을 함부로 대하지 못한다. 대중 수출 비율이 35%나 되는 호주 역시 마찬가지이다. 중국으로부터 무역 보복을 당했지만 모리슨 총리는 “중국의 압박 때문에 우리의 가치관을 팔지 않겠다”고 당당하게 나서자 중국이 도리어 난처해졌다. 우리의 경우에도 중국에 당당히 대했던 MB 정부가 가장 대접받았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김대기 단국대 초빙교수·前 청와대 정책실장 2021.10.20

 

'실로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동을 막는 의심  (0) 2021.11.01
위정자의 그릇된 역사관, 나라를 멍들게 한다(2)  (0) 2021.10.30
지공(至公)  (0) 2021.10.30
어느 위대한 추장  (0) 2021.10.29
모든 것은 하나님의 것  (0) 2021.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