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가 코로나19 증상을 완화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세계김치연구소는 장 부스케 프랑스 몽펠리에대 명예교수 연구팀과 공동 연구를 통해 “김치의 일부 성분이 코로나19 증상 완화에 영향을 미친다”고 31일 밝혔다. 김치의 재료인 배추·고추·마늘이 함유한 영양 성분이 인체의 항산화 시스템을 조절한다는 내용이다.
연구팀은 국가별로 코로나19의 발생률이 다르고, 증상·사망률도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는 점에 주목했다. 한국 등 동아시아 일부 국가와 사하라사막 인근 아프리카 일부 국가에서 코로나19 사망률이 다른 국가보다 상대적으로 낮았다.
김치연구소는 “호주·뉴질랜드를 제외하면, 코로나19 사망률이 낮은 국가는 공통적으로 김치 같은 발효 채소나 향신료를 많이 섭취한다는 공통점이 있었다”고 분석했다.
김치의 성분 중에서 설포라판(배추)과 알리신(마늘), 캡사이신(고추), 진저롤(생강) 등이 코로나19 증상 완화에 효과가 있었다. 이 같은 영양 성분과 함께 발효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산균이 인체 내 항산화 시스템(Nrf2)과 상호 작용하면서,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생긴 유해한 활성산소를 제거한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Nrf2는 인체의 항산화 시스템을 조절하는 단백질이다.
최학종 세계김치연구소 책임연구원은 “Nrf2와 상호 작용하는 김치의 영양 성분은 인체의 염증 반응을 유도하는 일시적수용체전위(TRP)의 활성화와 관련이 있다”고 말했다. 김치의 영양 성분이 TRP의 활성을 잃게 만들면서, 코로나19로 인한 염증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는 설명이다.
이번에 공동 연구에 참여한 장 부스케 몽펠리에대 폐의학과 명예교수는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연구단체인 ‘만성호흡기질환 국제연합(GARD)’ 의장을 지낸 인물이다. 장 부스케 교수는 “김치는 항산화 성분이 풍부한데다 TRP 활성을 낮출 수 있어 코로나19 바이러스 증상 완화에 매우 효과적”이라며 “한국에서 코로나19로 인한 사망률이 낮고, 중증환자가 적은 이유도 김치 때문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면역학 분야 국제 학술지 ‘임상과변환알러지(Clinical and Translational Allergy)’의 지난해 12월호에 실렸다.
문희철 기자 reporter@joongang.co.kr 21,03,31
'실로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두 낙제점 받은 文정부 4년 (0) | 2021.04.07 |
---|---|
북한 비핵화 포기…악몽이 시작된다 (0) | 2021.04.06 |
한주호를 기억하라 (0) | 2021.04.05 |
“대통령님은 아무것도 하지 않으셨습니다” (2) (0) | 2021.04.05 |
“대통령님은 아무것도 하지 않으셨습니다” (1) (0) | 2021.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