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로암

文정권 타락 본색과 진짜 反부패 개혁(2)

3406 2021. 4. 10. 11:24

부패를 뜻하는 코럽션(corruption)이란 단어는 라틴어 ‘모두(cor)’와 ‘파괴한다(rumpere)’를 합친 코룸페레(corrumpere)에서 유래했다. 부패는 국가와 사회의 모든 것을 산산조각내 버리는 공동체의 적(敵)이다. 2002년 부패방지위원회가 설치된 지 20년 가깝지만 갈 길은 멀다. 2020년 미국 국무부 국가별 인권보고서에서 조국 전 법무장관 등의 사례가 대표적 부패 사건으로 지적됐다. 그리고 2019년 국제투명성기구(TI) 부패인식지수에서도 33위를 기록하며 여전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하위권에 머물러 있다.

그 가장 큰 원인은 ‘윗물이 더러운’ 문재인 정권의 위선(僞善)과 내로남불이다. 청와대 특별감찰관을 4년째 임명하지 않고 있을 뿐만 아니라, 청문회에서 문제가 드러난 장관 후보자들도 임명을 강행했다. 정권 실세들의 부정과 비리 수사를 원천봉쇄하기 위해 ‘검수완박’을 외치며 검찰 무력화에 전력을 다 기울였고, 그 결과가 이성윤 서울지검장을 ‘황제 영접’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다. 또한, 한국토지주택공사(LH) 땅 투기 관련 수사에서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는 경찰 국가수사본부다.

 

기원전 1750년쯤 만들어진 함무라비법전에는 ‘건축업자가 집을 지었는데 그 집이 무너져 거주자가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면 건축업자는 사형에 처한다’는 규정이 있다. 행동에 대한 책임을 다른 사람에게 전가하는 사회는 존속할 수 없다. 행동에 반드시 책임이 뒤따르는 시스템만이 부패를 막는다. 카위작의 부패 스캔들로 충격을 받은 프랑스는 2016년 공공과 민간 부문을 포괄하는 대대적인 반부패 개혁을 단행했다.

 

2022년 제20대 대통령 선거를 앞둔 대한민국의 시대정신은 공정한 사회, 정의로운 일류 국가를 만드는 것이다. 그 중심에 반부패 개혁이 있다.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야당이 승리한다면 최고의 감사팀을 꾸려 박원순 시장 재임 8년 8개월 동안의 부정과 비리를 파헤치는 것이 최우선 과제가 돼야 한다. 진보가 항상 내일을 만들지 못한다. 공정함이 없는 권력, 탐욕에 가득 찬 위선적 도덕주의자들이 남긴 사회적 해악의 치유 없이 미래로의 전진은 불가능하다.

내년 대선이 정권 교체를 넘어 무능하고 낡은 모든 부패 세력을 일소하는 세력 교체, 시대 교체가 돼야 하는 이유다.

<김종민 변호사 前 광주지검 순천지청장 21.04.06>

'실로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제  (0) 2021.04.12
“나는 탁상 위의 전략은 믿지 않는다”  (0) 2021.04.12
권위가 나오는 곳  (0) 2021.04.10
신뢰 받는 정치  (0) 2021.04.09
마음의 눈과 지혜의 눈  (0) 2021.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