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은 꿈꾸는 자의 것이다. 다만 꿈은 행동으로 이어질 때 빛을 발한다.
꿈만 꾸고 행동하지 않는 사람은 몽상가에 불과하다.
꿈을 실현하기 위해 겪는 고통은 착한 고통이다.
착한 고통을 회피하면 지독한 나쁜 고통에서 헤어날 수 없다.
- 김봉국 저, ‘역사 속 승자와 패자를 가른 결정적 한마디’에서
현실이 너무 힘들어 꿈도 꾸기 어렵다고 말한다.
그러나 어려울수록 더 큰 꿈이 필요하다.
온갖 역경을 극복하고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카뮈는
‘삶에 대한 절망 없이는 삶에 대한 희망도 없다’고 말했다.
꿈꾸는 것에서부터 절망 탈출이 시작된다.
불가능해 보여야 비로소 꿈이라 말할 수 있다
꿈이 없는 삶은 빈껍데기이다.
꿈은 불가능의 냄새가 강하게 나야 진정한 꿈일 가능성이 크다.
불가능해 보이는 것이 꿈이다.
가능해 보이는 것은 꿈이 아니다.
그것은 그냥 괜찮은 계획일 뿐이다.
- 최진석 교수, ‘탁월한 사유의 시선’에서
“그래서 꿈을 꾸거나 꿈을 가지려면 우선 무모해야 한다.
무모함을 감당할 배짱도 없이 꿈을 꾸는 일은 불가능하다.
결국은 용기이다.”
달성가능성이 높은 것이 아니라 가슴을 뛰게 하는 것이 꿈이다.
(옮겨온 글)
'실로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꿈 중독자가 되라 (0) | 2023.07.13 |
---|---|
광우병 시위 주도자 “당시 팩트엔 관심 없었다, 오염수 괴담도 판박이” (0) | 2023.07.12 |
사람은 꿈의 크기만큼 자란다 (0) | 2023.07.12 |
깊이에서 오는 충만감 (0) | 2023.07.11 |
쓰레기 더미에도 꿈이 있다 (0) | 2023.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