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은 행동만 강조하는 시대다. 가치에 대한 묵상이 없다. 그래서 철학의 빈곤을 느낀다. 철학이 뭐냐? 이유를 묻고 이유를 설명하는 것이다. 철학 없는 행동은 공허하다. 이유를 가르치면 쉽게 지치지 않는다.
인부들을 데려다 땅을 파게 하고, 다 파면 다시 묻게 하는 일을 반복했다고 한다. 나중에는 인부들이 화를 내면서 이런 바보 같은 일은 못하겠다고 항의했다. 현장 책임자가 설명했다. "지금 어딘가에서 가스가 누출되고 있다. 빨리 찾지 못하면 폭발로 인해 큰 인명사고를 당할 수 있다." 설명을 들은 이후 인부들은 더 열심히 일을 했다고 한다.
왜 지치는가? 이유를 모르기 때문이다. 지친 인생을 사는 이유는 가치를 모르기 때문이다. 이유를 알면 응용이 가능하다. 가스 누출 장소를 찾기 위해서는 땅파기만이 아니라 냄새측정기로도 찾을 수 있다. 원시적이기는 하지만 가스 냄새에 예민한 개를 데려다 찾아낼 수도 있다. 이유를 알면 다양한 대안 제시가 가능해진다.
공부를 열심히 하는데 문제 해결 능력이 없는 이유가 무엇인가? 가치를 보는 눈과 가치에 대한 교육이 결여되었기 때문이다. 행동만으로는 부족하다.
'하버드 졸업생은 마지막 수업에서 만들어진다'라는 책이 있다. 학기 마지막 수업에 하버드 교수들은 자신의 최고의 조언을 학생들에게 해준다고 한다. 이 조언이 강한 하버드생을 만든다는 것이다.
데이비드 벨 교수는 "화려한 껍데기를 위해 인생을 낭비하지 마라"고 조언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졸업 후 절대로 동창회에 오지 말라고 한다.
동창회에 오는 순간 전혀 가치 없는 비교의식에 빠지게 된다. 타고 온 자동차, 높은 지위의 동창을 보며 실망과 낙담하게 된다. 그래서 동창회에 자주 오는 사람은 동창회형 인간이 된다. 처음부터 월급 많이 주는 회사, 빠른 성공을 주는 길, 돈은 많이 벌지만 하고 싶지 않은 일에 매달리게 된다.
그래서 똑똑한 하버드 졸업생이 그 시대의 흐름만 따르는 허비하는 인생을 산다는 것이다. 희생이 없다는 말이 아니다. 그 희생이 헛되다는 지적이다. 희생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가치를 붙들어야 한다.
(옮겨온 글)
'실로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치관의 회복 (0) | 2023.08.19 |
---|---|
“우리가 만든 쓰레기, 우리가 치울 것” 운동권 588명의 반성문 (0) | 2023.08.18 |
걱정과 두려움의 비용 (0) | 2023.08.18 |
사실로 사람을 설득하기 어려운 이유 (0) | 2023.08.17 |
짚신장사 부자 (0) | 2023.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