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머지않아 미국을 제치고 세계 1위 경제 대국으로 올라서는 것은 전문가들에게 기정사실로 여겨진다. 미국 워싱턴 대학 연구진은 2035년쯤 중국이 미국의 국내총생산(GDP)을 추월할 것으로 전망했고, 중국 국무원 산하 국무원발전연구중심은 그 시점을 2032년으로 예상했다. 그렇다면 중국은 국제사회에서 경제 규모에 걸맞은 위상을 갖게 될까.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경제학자 중 한 명으로 꼽히는 로버트 배로 미국 하버드대 경제학과 교수의 생각은 ‘노(No’) 였다.
11일 조선일보 주최 ‘제11회 아시안리더십콘퍼런스(ALC)’에 연사로 참여한 배로 교수는 전광우 세계경제연구원 이사장(전 금융위원장)과의 대담에서 “중국이 GDP 면에서 미국을 추월하더라도 미국으로부터 초(超)강대국의 지위를 뺏어오지는 못할 것"이라고 단언했다.
그는 “글로벌 리더십은 GDP로 표시되는 경제 규모가 아니라 1인당 GDP로 표시되는 국민의 삶의 질과 더 밀접하게 관련 있다”며 “중국이 2030년대 GDP로 미국을 앞선다 해도 1인당 GDP 면에서는 도저히 추월히 불가능할 것"이라고 했다.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올해 중국의 1인당 GDP 예상치는 1만839 달러로 미국(6만3051달러)의 5분의 1에 불과하다.
배로 교수가 1인당 GDP를 강조한 이유는 한 국가가 진정한 강대국이 되기 위해서는 경제력이나 군사력 같은 하드 파워(hard power)뿐 아니라 학문, 예술, 문화 같은 소프트 파워(soft power)가 필요하다는 생각 때문이다. 배로 교수는 이런 소프트 파워가 복지나 인권 같은 국민의 삶의 질에서 비롯된다고 했다. 그는 “중국은 1970년대부터 빈곤에서 벗어나고자 노력했지만, 여전히 지역별로 균형적인 성장을 이뤄내지 못하고 있다"며 “중국의 팽창주의적 외교정책과 거버넌스(통치체계)도 글로벌 리더로 올라서는 데 걸림돌이 될 것”이라고 봤다.
배로 교수는 정권이 바뀌더라도 미국 정부의 대중 정책은 큰 틀에서 변함이 없을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바이든 당선인은 개방된 자유무역을 선호하지만, 중국에 대해선 국가 보안과 기술 유출에 대한 우려를 가지고 있다”고 했다. 그는 “'화웨이 사태' 등을 볼 때 이런 우려는 충분히 합리적”이라며 미·중 간 갈등이 해소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봤다.
(석남준 기자 입력 2020.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