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시 후 한 수녀가 들어오더니 주섬주섬 신발 다섯 켤레를 쭉 늘어놓았다.
무슨 일인가 싶어 귀를 기울였다.
"이 신발은 너무 무겁고 이 신발은 너무 잘 미끄러져요. 이 신발은 또 너무 약해서 금방 닳고..."
수녀는 다섯 켤레의 단점을 조목조목 짚었다.
“이 모든 단점을 보완한 신발을 만들어주세요.”
수녀들은 많이 걷고 오래 서 있어야 하니
편하면서 가볍고 견고한 신발을 만들어달라는
요청이었다. 여러 구두 업자가 왔다가 수녀들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해
두 손 들고 나갔다는 말도 들렸다.
- 아지오의《꿈꾸는 구둣방》중에서 -
사람마다 신발이 다르다. 직업에 따라 전혀 다른 신발을 신는다.
군인은 군화를, 등산가는 등산화를 택한다. 많이 걷고 오래 서 있어야 하는 수녀들의 신발도 남다를 수밖에 없다.
그들에게 딱 맞는 신발을 제대로 만들 수 있는 장인이 흔치 않다.
신발 하나가 그럴진대 각 사람에 맞는 사랑, 치유, 교육은 더 말할 나위도
없다. 잘 맞춰야 한다.
(옮겨온 글)
“인간에겐 두 가지 중요한 영적 필요가 있다. 하나는 용서이기에 갈보리가 이의 해결이며, 다른 하나는 선함인데 이는 오순절로 해결된다. (빌리 그래함)”
'실로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삶이란 그런 것이다. (0) | 2021.06.01 |
---|---|
암을 이기는 3가지 원칙 (0) | 2021.05.31 |
다음에 털어먹을 게 남긴 할지 모르겠다 (0) | 2021.05.29 |
김일성 회고록 판매가 출판의 자유일까 (0) | 2021.05.29 |
나폴레옹의 공과 재평가에 나선 마크롱 (0) | 2021.05.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