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0-2006년 히말라야 등정에 성공한 2,864명 중 9%에 가까운 255명이 추락사했다. 추락사가 가장 많은 시점은 정상을 밟은 직후(48%)였다.
최고가 되기 무섭게 곧바로 나락으로 떨어지고 만 것이다.
그래서인지 히말라야의 산악인들 사이에서는 ‘히말라야는 자만을 받아들이지 않는다.’는 경구가 회자되고 있다.
- 정두희 저, ’미장세‘에서...
교병필패(驕兵必敗), 즉 ‘힘이 세다고 자랑하는 군대나 싸움 좀 이겨봤다고 거들먹대는 군사는 반드시 패한다’는 것은 상식이 되었다. 그러나 일부러 원해서, 알면서도 교만에 빠지는 경우는 흔치 않을 것이다. 따라서 잘 나갈수록 자신을 경계할 수 있도록 의도적으로, 미리미리 특별한 준비를 해둘 필요가 있다.
(옮겨온 글)
“빈 자루에 바람이 부풀고, 빈 머리에 자만심이 부푼다. (서양 속담)”
'실로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트레스를 이기는 법 (0) | 2021.09.18 |
---|---|
포기하기엔 이른 나이 (0) | 2021.09.18 |
없는 듯 있어야 하는 존재 (0) | 2021.09.17 |
난독증은 장애가 아닌 능력이다. (0) | 2021.09.16 |
폴란드의 쉰들러 (0) | 2021.09.16 |